김영남 (192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남은 1928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하여, 일제강점기,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대, 위만주국 등을 거치며 성장했다. 그는 연변대학 농학부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한 후 김일성종합대학,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된 이후 당과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1998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 선출되어 대외적으로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2019년 은퇴했으며, 2020년 조선로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 황장엽
황장엽은 북한 고위 간부 출신으로 주체사상 이론 체계화에 기여했으나 1997년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김정일 정권을 비판하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다 사망 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 리선권
조선인민군 대좌 출신으로 남북 군사 실무 회담 북측 대표를 지낸 리선권은 외무상, 통일전선부 부장 등을 역임한 북한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김영남 (192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영남 |
로마자 표기 | Gim Yeong-nam |
한자 표기 | 金永南 |
출생일 | 1928년 2월 4일 |
출생지 | 헤이죠, 헤이안난도, 일본 제국 (현재 평양, 북한)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당 | 조선로동당 |
학력 | 톰스크 국립대학교 로스토프 국립대학교 |
![]() | |
직책 |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재임 시작: 1998년 9월 5일 재임 종료: 2019년 4월 11일 후임: 최룡해 선임: 양형섭 |
외무상 | 재임 시작: 1983년 12월 1일 재임 종료: 1998년 9월 5일 후임: 백남순 선임: 허담 |
외무차관 | 재임 시작: 1972년 12월 1일 재임 종료: 1974년 9월 9일 |
정치 경력 |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 재임 시작: 2010년 9월 28일 재임 종료: 2019년 4월 10일 |
가족 관계 | |
형제자매 | 김기남 (동생) 김두남 (동생) 김춘옥 (여동생) 김경삼 (동생) |
친인척 | 외종육촌 리수용 사돈 친인척 김일철 |
기타 | |
아명 | 명삼 (明參) |
종교 | 무신론 |
2. 생애
김영남은 1928년 2월 4일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하였고 아명(兒名)은 '명삼'(明參)이었다. 김택세(金擇世)의 장남으로, 남동생 김기남과 여동생 한 명이 있었다. 본관은 평안북도 귀성이다. 공식 기록에는 출생지가 평양으로 되어 있지만, 당시 중화민국 봉천성이라는 설도 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중앙정부의 항미원조 보가위국(抗美援朝 保家衛國)이라는 구호 아래 지원군 신분으로 참전하였다.[17] 한국 전쟁 정전 후 조선 중앙 정부의 복구 건설 수요에 따라 가족들을 데리고 조선으로 건너가 정착 생활을 하였다.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에 유학하였다.
조선로동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하기 전 중앙당학교 교원으로 일한 적이 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부총리)과 외무상(외교부장) 등의 요직을 맡았다. 1998년 9월 5일부터 2019년 4월 11일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외교 의례상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선로동당내 서열 2위에 머물렀으나, 2019년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에서 물러나고 모든 직무에서 은퇴하였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김영남은 때때로 북한의 "명목상의 국가원수"로 불렸다.[1] 언론인이자 학자인 돈 오버도퍼는 김영남을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자, 공식적인 역할에서는 엄격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쾌활하고, 매우 지능적이며, 평양의 배후에서 중요한 인물이라고 묘사했다.[1] 그는 높은 수준의 정치적, 외교적 기술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았다.[6]
2000년 9월 4일,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하던 중, 경유지인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아메리칸 항공 직원들로부터 보안검색을 구실로 한 “굴욕적인 신체 검사”를 강요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3][24] 이 때문에 김영남 일행은 탑승을 취소하고 북한으로 귀국하여 밀레니엄 정상회의에 불참했다.
2010년 9월 28일, 조선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의와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22차 총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공식적으로 당내 서열 2위가 되었다.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이 사망하고, 셋째 아들 김정은이 후계자가 된 이후에도 김영남은 숙청되지 않고 서열 2위에 머물렀고, 2016년 5월에 열린 제7차 당 대회에서도 정치국 상무위원에 유임했다.
2019년 3월 10일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재선되었지만,[30] 4월 10일 제7기 당 중앙위원회 제4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을 사임했고,[31] 다음 날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도 사임하고 은퇴했다.[32]
2020년 10월 10일에 열린 조선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경축 대표” 중 한 명으로 초청석에서 참관했다.[33]
2. 1. 성장 과정 및 학력
김영남은 1928년 2월 4일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으며, 아명(兒名)은 '명삼'(明參)이었다. 아버지 김택세(金擇世)의 장남으로, 남동생 김기남과 여동생 한 명이 있었다. 본관은 평안북도 귀성이다.성장기에 중화민국 둥베이 지방의 헤이룽장 성 안달(安达)지구와 둥베이 랴오닝 지방,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구성, 강원도 통천, 전라북도 전주 등 여러 곳에서 살았다. 위만주국 시대에는 흑룡강성 목란현(무란 현) 모농촌지역에서 거주하였다. 1948년경(광복 후)과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시기에는 상지현(상즈 시) 흑룡궁진 모농촌으로 이주하여 생활하였다.
청년 시기에는 상지현 조선족중학교(상조중, 원 송강성립제1(상지)초급조선중학교)와 연변대학 농학부에서 수학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중앙정부의 호소(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참전 호소)에 따라 지원군 신분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17]
한국 전쟁 정전 후인 1957년경, 조선 중앙 정부의 복구 건설 수요에 따라 가족들을 데리고 조선으로 건너가 정착하였다.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에 유학하였다.
2. 2. 정치 경력
김영남은 1970년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된 것을 시작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34] 1972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부 부부장, 외무성 부상을 담당하였다.[34] 1974년 9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담당 비서에 선출되었고,[34] 1975년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담당 비서를 역임하였다.[34] 1977년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부 부장을 역임했고,[34] 그해 12월 15일에는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에 추가 임명되었다.[34] 1978년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 되어 최고급 간부층에 들어섰다.[34]1983년 부수상(부총리) 겸 외무상(외교부장)에 취임하여[34] 1998년까지 약 15년간 재직하며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외교 정책을 지원했다.[18] 1988년 그는 베이징에 있는 각국 대사관을 통해 미국과 비공식적인 외교 접촉을 주선하는 역할을 맡았다.[9] 1989년 9월에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을 겸임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추모대회에서 주최 연설을 하였다.[34]
1998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어 헌법상(명목상)의 국가원수가 되었다.[34] 2009년 4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1차회의에서 위원장에 재선출되었으나, 헌법 개정으로 명목상의 국가원수직에서 물러났다.[34]
2010년 9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34] 조선로동당 내 서열은 2011년 12월 김정일이 사망한 후 서열 1위에 오른 김정은에 이은 2위이다.[34]
2019년 3월 10일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재선되었지만,[30] 4월 10일 제7기 당 중앙위원회 제4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을 사임했고,[31] 다음 날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도 사임하고 은퇴했다.[32]
김영남의 주요 정치 경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직책 |
---|---|
1970년 11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34] |
1972년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부 부부장(제1 부부장)[34] |
1972년 12월 |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부 부장, 외무성 부상[34] |
1974년 9월 |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비서(국제담당)[34] |
1975년 |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비서(국제담당) (역임)[34] |
1977년 |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국제부 부장[34] |
1977년 12월 15일 | 중앙인민위원회 위원[34] |
1978년 |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34] |
1983년~1998년 | 정무원 부총리 겸 외무상[18][34] |
1998년 9월 5일~2019년 4월 11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제12대, 제13대, 제14대)[34] |
2010년 9월 |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34] |
2. 3. 외교 활동
김영남은 1983년 부수상(부총리) 겸 외무상(외교부장)에 취임하여 1998년까지 약 15년간 재직하며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외교 정책을 지원했다.[18] 1988년에는 베이징에 있는 각국 대사관을 통해 미국과 비공식적인 외교 접촉을 주선하는 역할을 맡았다.[9]1998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된 이후에는 헌법상 국가원수로서 대외적인 외교 활동을 수행했다. 2007년에는 몽골, 알제리, 이집트, 에티오피아, 싱가포르를 방문했고, 2008년에는 나미비아, 앙골라,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등 아프리카 4개국을 순방했다.[11] 특히 나미비아에서는 북한이 건설한 대통령 관저 준공식에 참석하고, 히피케푸녜 포함바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12]
2000년 9월 4일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하던 중, 경유지인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아메리칸 항공 직원들로부터 보안검색을 구실로 한 “굴욕적인 신체 검사”를 수행원들에게 강요당했고, 김영남 본인에게도 같은 검사를 강요하려는 사건이 발생했다.[23][24] 이 때문에 김영남 일행은 탑승을 취소하고 북한으로 귀국하여 밀레니엄 정상회의에 불참했으며, 동시에 예정되어 있던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회담도 중단되었다.[24]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27]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11]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11] 등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 개막식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뇌자 신분으로 참석했다. 특히,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별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2009년에는 이집트에서 열린 제15차 비동맹운동 정상회의에 참석하여 응웬 민 지엣 베트남 대통령과 회담했다.[13] 2015년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차 세계 대전 전승절 70주년 기념식에 북한 대표로 참석했다.[14] 2016년에는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의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적도기니를 방문했다. 2018년에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의 멕시코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했다.
1974년에는 열국의회동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단 단장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2002년 9월 17일 제1차 북일정상회담에서는 평양국제공항에 도착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수상을 맞이했다.[18]
2. 4. 은퇴 이후
그는 2019년 4월 11일, 91세의 나이로 정부 개편에 따라 퇴임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을 약 21년, 당 정치국 위원으로는 약 40년(1978년 8월 최초 선출)을 역임했다.[6]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재선되었지만,[30] 4월 10일 제7기 당 중앙위원회 제4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을 사임했고,[31] 다음 날인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직도 사임하고 은퇴했다.[32]2020년 10월 10일에 열린 조선로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경축 대표” 중 한 명으로 초청석에서 참관했다.[33] 2022년 공화국창건일 기념행사에서는 만수대의사당 마당에서 열린 중앙 음악회와 만찬에 참석했다.[15]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김택세(金擇世|김택세중국어) | |
본명 | 김명삼(金明參|김명삼중국어) | |
동생 | 김기남(金東參|김동삼중국어) | (1929년 ~ 2024년)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정무국 부위원장 역임. 2017년 10월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회 총회에서 퇴임. |
여동생 | 이름 미상 | |
친척 | 김동순 | 2008년 한국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 |
친척 | 원정화 | 2008년 한국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 |
4. 일화
- 김영남은 김일성 주석의 연설문 초안을 대부분 작성할 정도로 문장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 덕분에 국제 문제를 담당하는 노동당 중앙비서국 비서였음에도 불구하고 노동당 중앙정치국 정식 위원으로 승격되는 등 김일성 주석과 각별하고 돈독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35]
- 공적인 대화가 시작되기 전에는 매우 친절하고 편안한 사람이지만, 본론으로 들어가면 냉혹할 정도로 자신의 각본을 따른다고 한다.
- 김영남의 친동생 김기남은 노동당 중앙정무국 부위원장 등 여러 중요한 직무를 담당했다.
- 2000년 9월 4일,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으로 가던 중,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아메리칸 항공 직원들에게 굴욕적인 신체 검사를 강요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3][24] 이로 인해 김영남은 탑승을 취소하고 귀국하여 회의에 불참했으며, 예정되었던 김대중 대통령과의 회담도 중단되었다.[24]
5. 저작
- 김영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총리 겸 외무상 김영남과의 인터뷰〉,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4권 3호, 1985년, 66–75쪽.
- 김영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은 날마다 증가하고 있다〉, 《근로자》, 1988년 9월.
참조
[1]
서적
Profiles of People in Power: The World's Government Lead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13
[2]
웹사이트
КИМ ЁН НАМ.ЭНЦИКЛОПЕДИЯ.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https://web.archive.[...]
2018-02-27
[3]
웹사이트
Ким Ён Нам – 5-й Министр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КНДР – Революция в Северной Корее
https://web.archive.[...]
2018-02-27
[4]
뉴스
Blessings, condolences
2007-01-06
[5]
뉴스
Who's who in North Korea's power elite
http://www.koreahera[...]
2007-10-05
[6]
뉴스
The great survivor: after 21 years at the top, Kim Yong Nam steps down
https://www.nknews.o[...]
NK News
2019-04-12
[7]
웹사이트
Profiles of Presidium and Members of Political Bureau
http://www.kcna.co.j[...]
KCNA
2010-09-29
[8]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9]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10]
뉴스
Jimmy Carter lands in North Korea to bring home jailed Boston man
https://web.archive.[...]
[11]
뉴스
N Korean leader returns after visiting four African countries
https://web.archive.[...]
Yonhap (AsiaPulse via COMTEX)
2008-04-02
[12]
뉴스
Namibia, NKorea hail friendship
http://www.int.iol.c[...]
Sapa (IOL)
2008-03-21
[13]
웹사이트
Politics
https://web.archive.[...]
2022-10-06
[14]
웹사이트
Pyongyang plays up closer ties with Russia despite absence of Kim Jong Un in Moscow
http://ajw.asahi.com[...]
2015-05-11
[15]
웹사이트
Mysterious new aide to Kim Jong Un reappears at massive concert, banquet
https://www.nknews.o[...]
NK News
2022-09-09
[16]
웹사이트
술·담배 안 하고 권력욕 안 부린 게 구십 넘도록 건강 장수(長壽)·권력 장수 누리는 비결”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17]
웹사이트
평창 동계올림픽 북한 대표단장으로 오는 1928년생 김영남의 처세술은?
http://m.monthly.cho[...]
조선일보
2018-03-10
[18]
웹사이트
北の対南心理戦は着々 超大物の金永南氏派遣を韓国政府は歓迎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
2018-02-05
[19]
웹사이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은, 북조선이 건국된 1948년부터 1972년의 헌법개정까지 국가원수로서 설치되어 있었다. 1972년의 헌법개정에서 국가원수로서 국가주석직이 설치되어 김일성이 국가주석에 취임하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에 개편되어 권한이 축소되었다. 그리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최고인민회의 의장의 직은 분리되어 있었지만,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의 의장은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겸임했다.
null
[20]
웹사이트
独裁者が一番の北朝鮮で金永南が“国家元首”だったのはなぜか
https://jbpress.isme[...]
일본비즈니스프레스
2021-12-05
[21]
웹사이트
独裁者が一番の北朝鮮で金永南が“国家元首”だったのはなぜか
https://jbpress.isme[...]
일본비즈니스프레스
2021-12-05
[22]
웹사이트
独裁者が一番の北朝鮮で金永南が“国家元首”だったのはなぜか
https://jbpress.isme[...]
일본비즈니스프레스
2021-12-05
[23]
웹사이트
重大な自主権侵害 金委員長の国連参加、米行政当局が妨害/朝鮮外務省抗議声明
http://korea-np.co.j[...]
조선신보
[24]
웹사이트
北朝鮮 国連サミットへの参加中止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00-09-06
[25]
웹사이트
미, 외교채널 통해 북에 유감표명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00-09-06
[26]
웹사이트
訪米取り消しにホワイトハウス遺憾表明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00-09-06
[27]
뉴스
平壌で初の聖火リレー整然と終了
http://beijing2008.n[...]
2008-04-08
[28]
웹사이트
김정남(김정은의 이복형)은 2월 13일에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고 있다.
null
[29]
뉴스
金正日総書記生誕75年「後継問題が解決した」と報告
http://news.tv-asahi[...]
2017-02-16
[30]
뉴스
北朝鮮代議員選挙結果を徹底分析!相次ぐ実力者らの意外な「落選」が判明!
https://news.yahoo.c[...]
[31]
뉴스
북한, 노동당 상무위 `김정은·최룡해·박봉주` 3인 체제 구축(北韓(=北朝鮮)、労働党常務委 '金正恩・崔龍海・朴奉珠' 3人体制の構築)
https://www.mk.co.kr[...]
2019-04-14
[32]
뉴스
北朝鮮、最高人民会議常任委員長に崔氏 首相も交代
https://jp.reuters.c[...]
2019-04-12
[33]
웹사이트
北朝鮮で党創建75年軍事パレード…新型ICBM登場
https://dailynk.jp/a[...]
2020-10-11
[34]
웹사이트
김정은 맨 앞에 …국가장의위원회 명단 232명 공개
https://news.naver.c[...]
[35]
서적
두개의 한국
null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